맨위로가기

폐후 오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후 오씨는 명나라 성화제의 황후로, 만귀비의 세력을 견제하려다 폐위되었다. 오씨는 만귀비의 질투로 인해 다른 비빈들이 아이를 낳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생모 기씨에 의해 버려진 주우당(훗날 홍치제)의 양육에 관여했다. 홍치제 즉위 후 황후로 복위되지는 못했으나 모후의 예우를 받았으며, 정덕 4년(1509년)에 사망하여 비빈의 예로 장례가 치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화제의 황후 - 효정순황후
    효정순황후는 명나라 성화제의 황후로, 성화제 즉위 후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실질적인 권한을 가지지 못했고 홍치제 즉위 후 황태후가 되었으며 정덕 13년에 사망했다.
  • 성화제의 황후 - 효목황후 (명나라)
    효목황후 기씨는 명나라 성화제의 후궁이자 홍치제의 생모로, 만귀비의 견제 속에서 홍치제를 낳았으나 홍치제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 급사, 사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 1509년 사망 - 헨리 7세
    헨리 7세는 1485년 보즈워스 전투에서 승리하여 잉글랜드 왕위에 오른 후 튜더 왕조를 창시하고, 요크 가문과의 결혼을 통해 장미 전쟁을 종식시키며 왕권을 강화하고 잉글랜드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한 인물이다.
  • 1509년 사망 - 심주
    심주는 중국 명나라 시대의 화가, 서예가, 문인으로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으며 산수화와 화훼화에 뛰어났고 오파를 창시하여 문인화 발전에 기여했다.
  • 1449년 출생 - 덕원군 (왕족)
    세조와 근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난 덕원군 이서는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10세에 덕원군에 봉해졌고, 효심이 지극하며 성리학과 예법에 밝아 유종이라 칭송받았던 조선의 왕족이다.
  • 1449년 출생 - 채수
    채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작가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폐비 윤씨의 휼양을 청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 가담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설공찬전》과 《나재집》 등의 저서를 남겼고, 사후 임호서원이 건립되고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폐후 오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씨 (吳氏)
존칭황후 오씨 (皇后吳氏)
출생15세기
출생지질리 대흥현 (현재의 베이징시 다싱구)
사망1509년 (정덕 4년)
매장지베이징 진산
씨족오 (吳)
아버지오준 (吳俊)
통치
배우자성화제
재위 시작1464년 7월 20일
재위 종료1464년
전임 황후효장예황후
후임 황후효정순황후

2. 생애

천순 8년 7월(1464년), 오씨는 황후로 책봉되었다.[3] 그러나 만귀비의 세력을 견제하려다 만귀비의 계략에 넘어가 황후가 된 지, 반년도 안 돼서 폐후가 되게 된다. 만씨는 질투심이 강해 다른 비빈의 아이들을 잇달아 유산시켰지만, 오씨는 생모 기씨가 두려움 때문에 내버린 주우당(후의 홍치제)의 양육에 은밀히 관여하였다.[3] 만귀비가 죽고 홍치제가 즉위하고 난 뒤에는 황후로 복원되지는 못했으나 모후의 예로 편안히 살게 끔 하였다. 몇년 후 정덕 4년 1월 16일(1509년 2월 5일), 오씨는 서거하게 된다.[3] 유근은 일궁인으로 다비에 처하려 했지만, 대신들의 진언으로 비빈의 예로 금산에 장례를 치렀다.[3]

2. 1. 황후 책봉과 폐위

천순 8년 7월(1464년), 오씨는 성화제의 황후로 책봉되었다.[3] 그러나 만귀비의 세력을 견제하려다 만귀비의 계략에 넘어가 황후가 된 지 한 달도 안 돼 폐위되었다.[3]

폐후 오씨는 만귀비가 질투심이 강해 다른 비빈의 아이들을 잇달아 유산시켰지만, 생모 기씨가 두려움 때문에 내버린 주우당(후의 홍치제)의 양육에 은밀히 관여하였다.[3]

홍치제 즉위 후에도 왕태후의 권세가 강했기 때문에 황후로 복위되지는 못했지만, 황태후의 예우로 복식과 음식을 받으며 '모후'로 불렸다.[3] 정덕 4년(1509년) 1월 16일, 오씨는 서거하였고, 유근은 일궁인으로 다비에 처하려 했지만, 대신들의 진언으로 비빈의 예로 금산에 장례를 치렀다.[3]

2. 2. 홍치제 양육

천순 8년 (1464년), 영종에게 발탁되어 후궁으로 들어가 태자 주견심(후의 성화제)의 혼약자가 되었다.[3] 아버지 오준은 종1품 금의위 도독 동지에 진봉되었다.[3] 성화제가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측실 만씨가 매우 무례했기 때문에 장형에 처하자, 성화제는 격노하여 황후를 폐위하고 별궁으로 옮겼으며, 부형도 모두 관직에서 물러났다.[3]

만귀비는 질투심이 강해 다른 비빈의 아이들을 잇달아 유산시켰지만, 오씨는 생모 기씨가 두려움 때문에 내버린 주우당(후의 홍치제)의 양육에 은밀히 관여하여, 아들 없이 동궁(황태자)이 되는 것을 지켜보았다.[3] 홍치제 즉위 후에도 왕태후의 권세가 강했기 때문에 복위되지는 못했지만, 황태후의 예우로 복식과 음식을 받으며 '모후'로 불렸다.[3]

2. 3. 복권 시도와 죽음

천순 8년(1464년), 오씨는 황후로 책봉되었으나 만귀비의 세력을 견제하려다 모함에 빠져 반년도 안 돼 폐위되었다.[3] 만귀비 사후 홍치제가 즉위하면서 황후로 복위되지는 못했으나, 모후의 예우를 받으며 편안히 살았다.

오씨는 만귀비의 질투심이 강해 다른 비빈의 아이들을 잇달아 유산[3]시키는 와중에도, 기태후가 두려움 때문에 내버린 주우당(후의 홍치제)의 양육에 은밀히 관여하였다.[3]

몇 년 후 정덕 4년 1월 16일(1509년 2월 5일)에 서거하였다.[3] 유근은 일궁인으로 다비에 처하려 했지만, 대신들의 진언으로 비빈의 예로 금산에 장례를 치렀다.[3]

3. 평가

4. 가족 관계

5. 기타

6.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fi, 1368-1644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2] 서적 Den Ch'eng-hua och Hung-chih regerar, 1465-1505. I MOTE, Frederick W. Twitchett, Denis C.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ym 7: Mingdynastin, 1368-1644, de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